연구소 사람들
소장 | 신규환 jerry0406@korea.ac.kr
경력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인문학교실 교수
고려대학교 여성의학사연구소 소장
의료역사연구회 회장 (2021년 2월 - 2025년 1월)
대한의사학회 부회장 (2023년 - 현재)
대표 저서
신규환, 『페스트 제국의 탄생: 제3차 페스트 팬더믹과 동아시아』, 역사공간, 2020.
_______, 『북경의 붉은 의사들: 20세기 청년의사들의 도시건설과 위생실험』, 역사공간, 2020.
_______, 『세브란스,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독립운동에서 의료개혁까지』, 역사공간, 2019.
_______, 『북경 똥장수: 어느 중국인노동자의 일상과 혁명』, 푸른역사, 2014.
_______, 『국가, 도시, 위생: 1930년대 베이핑시정부의 위생행정과 국가의료』, 아카넷, 2008.
_______, 『질병의 사회사: 동아시아의학의 재발견』, 살림, 2006.
[공동 집필]
신규환・조정은・김영수・이현주, 『동아시아, 감염병에 맞서다: 두창 백신의 등장과 근대적 질병관리』, 역사공간, 2025.
신규환, 제2장 「해항검역과 동아시아: 1919-1920년 타이완과 조선의 콜레라 방역」, 『국가와 감염병: 역병에서 질병X까지』, 세창출판사, 2023.
_______, 제7장 「질병과 신체의 공간화」 및 제8장 「사립병원은 어떻게 성장해왔나」, 연세대 의학사연구소 편, 『병원의 인문학』, 역사공간, 2023.
_______, 제1권 제5장 일제강점기 제4절「의료인력 양성의 한계」 및 제5절 「경성부 의료인들의 활동과 부민들의 보건의료 인식」, 『서울의료사』, 경인문화사, 2023.
대표 논문
신규환, 「식민지 홍콩의 열대의학 연구와 세균설」, 『의사학』 33(2), 2024.
최승아・신규환, 「가정에서 병원으로: 1960-80년대 조산원의 쇠퇴와 병원 분만의 증가」, 『의료사회사연구』 14, 2024.
신규환, 「로제타 홀(1865-1951)과 한말 일제하의 여성의학교육」, 『의학사연구』1(1), 2024.
______, 「한말 일제 전반기 여성 의학교육의 계보와 특징: 로제타 홀의 의학교육을 중심으로」, 『연세의사학』 26(2), 2023.
______, 「1920-30년대 중국의 두창 방역과 공공의료: 상하이와 베이징의 사례를 중심으로」, 『의사학』 32(2), 2023.
______, 「개항이후 한국의 우두법 도입과 확산: 의학지식 네트워크의 시각」, 『의료사회사연구』 11, 2023.
______, 「근대 동아시아 위생 개념의 확산과 공공의료 담론의 형성」, 『의사학』 31(3), 2022.
______, 「한국 종두법의 발전과 의학 기술의 문제: 인두법에서 우두법으로 전환과 의학 지식과 기술의 간극」, 『의료사회사연구』 10, 2022.
_______, "Distinguishing between neurosis and psychosis: discourses on neurosis in colonial Korea," History of Psychiatry 33(3), 2022.
_______, "Concealment and Disclosure: The Cholera Crisis of 1969-70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30-2, 2021.
전임연구원
김진혁 jinhyouk@korea.ac.kr
경력
고려대학교 여성의학사연구소 학술기획팀장
의료역사연구회 총무이사(2023년 - 현재)
대표논문
김진혁, 「1950년대 개업의의 무의촌 인식과 변론」, 『인문과학연구』 51, 2025.
______, 「여성 의학교육기관의 설립과 운영(1928-1945): 한국 '여성 의학' 교육 제도의 출발과 현대 의학교육의 모태(母胎) 형성」, 『의료사회사연구』 13, 2024.
_______, Development and influence of military medicine during the Korean War: Focusing on military medical school and training in the U.S.,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32(3), 2023.
_______, 「미군정기 보건학유학생 파견과 유학정책 갈등」, 『의료사회사연구』 12, 2023.
_______, 「해방 이후 남북한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와 월남의사의 정착」, 『역사와 현실』 126, 2022.
_______, 「북한 사회보험제도와 의료국영화: 무상치료의 원형, 이상과 현실(1945~1950)」, 『의료사회사연구』 10, 2022.
_______, 「해방직후 보건의료체제 논쟁과 통일국가 보건의료정책 구상」, 『의사학』 30(3), 2021.
정다혜 peace509@korea.ac.kr
경력
고려대학교 여성의학사연구소 연구지원팀장
의료역사연구회 학술이사(2023년 - 현재)
대표논문
정다혜, 「1970-1980년대 간호보조원 보건요원의 일상과 보건간호의 위계화」, 『사림』90, 2024.
_______, 「"여성을 위한 의료사업은 여성의 힘으로"(Medical work for women by women): 로제타 홀의 여성병원 운영론과 여성 의학교육」, 『의료사회사연구』 14, 2024.
정다혜, 「주민참여로 마을의 건강을: 1970-80년대 마을건강원 활동과 보건의료에서의 주민참여 논쟁」, 『의사학』 31(3), 2022.
_______, 「서독의 대한(對韓) 개발원조와 1970-1980년대 보건의료지원의 성격」, 『의료사회사연구』 10, 2022.
_______, 「벽지로 간 간호사: 보건진료원의 탄생과 1970-80년대 보건의료체계의 젠더질서」, 『의료사회사연구』 9, 2022.
_______, 「병원에서 마을로: 거제 지역사회건강사업으로 본 1970년대 의료 소외지역의 지역보건 실험」, 『사회와역사』 129, 2021.
_______, 「2000년대 학생운동의 새로운 정체성 모색과 운동의 다각화-연세대학교 학생운동을 중심으로-」, 『학림』 48, 2021.
신창훈 saint-just@korea.ac.kr
경력
고려대학교 여성의학사연구소 학술정보팀장
육군3사관학교 군사사학과 조교수(2020년 - 2023년)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원(2019년 - 2020년)
대표논문
신창훈, 「서울 도심 속 응급의료의 공간, 수도의과대학 제2부속병원(1958-1966)」, 『의학사연구』 2(1), 2025.
_______, 「해방 이후 한국 법의학의 경로와 그 역사적 의미」, 『사림』91, 2025.
_______, 「4월 혁명과 의료 공간의 장소성-서울 도심의 주요 병원을 중심으로」, 『의사학』 33 (1), 2024.
_______, 「1950~1970년대 무의촌(無醫村) 문제의 ‘한국적’ 타개와 징병제의 착종」, 『의사학』 32 (3), 2023.
_______, 「1960년대 김대중의 정치적 부상과 야당의 ‘근대화’」, 『역사와 현실』 124, 2022.
_______, 「제1, 2공화국기 민주당 신파의 형성과 이완」, 『역사문제연구』 25(2), 2021.
_______, 「4월 혁명 전후 정치·사회적 ‘中立化’ 담론의 부상과 굴절」, 『사림』 75, 2021.
연구원
황선미 shwang0048@korea.ac.kr
경력
고려대학교 여성의학사연구소 연구지원팀 (2023 -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학과 박사 수료
의료역사연구회 『의료사회사연구』 편집간사 (2023. 4 - 2024.10)
대표논문
황선미, 「중일전쟁 전후 식민지 조선 사회의 간호부 인식과 변화」, 『역사연구』 49, 2024.
, 「『총동원』을 통해 살펴본 전시체제기 ‘국민’ 형성 기획의 특징과 성격」, 『사림』 79, 2022.
차은빈 chaeunbin@naver.com
경력
고려대학교 여성의학사연구소 학술정보팀 (2024 - 현재)
경희대학교 HK+ 통합의료인문학연구단 연구보조원 (2023.3 - 2024.2)
경희대학교 사학과 석사 수료
대표논문
차은빈, 「한국 최초의 여성 해부학자, 라복영(羅福英)의 생애와 활동」, 『의학사연구』 1(2), 2024.
학예사
조희수 heesoo0618@korea.ac.kr
경력
고려대학교 여성의학사연구소 학예사 (2024 - 현재)
서울대학교 과학학과 박사 수료
대한의사학회 『의사학』 편집간사 (2021. 8 - 2023. 8)
고려대학교 여성의학사연구소 『의학사연구』 편집간사 (2023. 9 - 현재)
대표논문
조희수, 「이호왕의 백신 연구와 '한타박스(Hantavax)'의 개발: 1960-1980년대 이호왕의 백신 개발 환경을 중심으로」, 『의학사연구』 1(2), 2024.
______, 「현대 한국 산과학에서 산전 초음파 진단의 보급과 임신 경험의 변화」,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김명희, 백수진, 문한나, 박인경, 차승현, 박준석, 이경훈, 박춘선, 조희수, 「배아 보존에 관한 합리적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의료법학』 22(3), 2021.